청주 이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청주 이씨는 고려 개국공신 이능희를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고려 시대에는 이자림, 이공승 등이 활약했으며, 조선 시대에는 이거이, 이애, 이백강 등이 왕실과 인척 관계를 맺었다. 청주 이씨는 정숙공파와 평장공파로 나뉘며, 조선 시대에 문과 급제자 10명, 다수의 무과 급제자, 생원시 및 진사시 합격자를 배출했다. 2015년 기준 37,377명이 청주 이씨이며, 충청남도 천안시, 전라남도 해남군 등지에 집성촌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주 이씨 - 이태희 (1911년)
이태희는 일제 강점기 고등문관시험에 합격한 법조인으로 해방 후 검찰총장, 이화여자대학교 법정대학장 등을 역임했으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 포함되었다. - 청주 이씨 - 이거이
이거이는 이성계의 추천으로 등용되어 조선 건국 후 공신에 책록되었고, 왕자의 난에서 이방원을 도와 공신이 되었으며, 영의정부사를 지내는 등 조선 초 정치에 기여한 무신이자 공신이다.
청주 이씨 | |
---|---|
청주 이씨 | |
성씨 | 청주 이씨 淸州 李氏 |
관향 | 충청북도 청주시 |
시조 | 이능희(李能希) |
중시조 | 이공승(李公升) |
인물 | 이겸의 이자림 이공승 이정 이거이 이애 이백강 이계년 이태희 이명수 이명해 경목현비 원질귀비 |
년도 | 2015 |
인구 | 37,377명 |
분관 | 보은 이씨 |
2. 역사
청주 이씨는 고려와 조선 시대에 걸쳐 중요한 역할을 한 가문이다. 시조 이능희는 고려 개국공신이었고, 그의 후손들은 대대로 고위 관직을 역임하며 가문을 빛냈다.
고려시대에는 이능희와 그의 아들 이겸의, 그리고 이자림 등이 활약하였다. 특히 이자림은 현종 때 김훈·최질의 난을 진압하는 데 큰 공을 세웠으며, 그의 딸들은 현종과 덕종의 왕비가 되었다. 6세손 이공승은 인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1175년 중서시랑평장사로 치사하였다.[1] 7세손 이춘로는 1203년(신종 6) 참지정사가 되었다. 8세손 이장은 대장군, 9세손 이창우는 판밀직사를 지냈다.
조선시대에는 이거이가 왕자의 난과 태종 즉위에 공을 세워 정사공신과 좌명공신에 책봉되었다. 그의 아들 이애(李薆)는 태조 이성계의 장녀 경신공주와 혼인하였고, 이애의 동생 이백강(李伯剛)도 태종의 장녀 정순공주와 혼인하여 왕실과 인연을 맺었다. 15세손 이원첨은 세종 때 과학기구를 제작하였으나, 단종 폐위에 항거하여 자결하였다. 20세손 이계년은 임진왜란 때 진주성에서 순국하였다.
2. 1. 시조 및 고려 시대
이능희는 고려 개국공신으로 벽상삼한 삼중대광 태사를 지냈다. 918년(태조 원년) 개국공신 2등으로 지정되었다.이능희의 아들 이겸의는 태조의 통일사업을 도와 삼한공신이 되었으며 금자광록대부에 올랐다. 984년(성종 3) 주농경으로 형관어사가 되었다. 그해 왕명을 받아 압록강안에 성을 쌓아 북방의 관성을 삼으려 하였는데, 여진족의 습격을 받아 포로가 되었으며, 이로써 성을 쌓던 군사들도 흩어져 성을 쌓지 못하였다.
이자림은 성종 때 장원으로 급제했으며, 1014년(현종 5) 김훈·최질의 난 당시 개경의 사저에 있으면서 왕의 측근 김맹을 통해 무신들을 제거할 것을 왕에게 알렸다. 이에 서경유수판관이 되어 이듬해 왕이 서경에서 군신과 함께 향연을 벌일 때 김훈·최질 등 19인을 베고 이들의 발호를 방지하였다. 왕씨가 사성되어 왕가도로 불리었다. 적극적인 북진파의 한 사람으로 딸은 현종의 원질귀비, 덕종의 경목현비가 되었다. 현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6세손 이공승은 고려 인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1175년 중서시랑평장사로 치사하였다.[1]
7세손 이춘로는 1203년(신종 6) 참지정사가 되었다. 8세손 이장은 대장군, 9세손 이창우는 판밀직사를 지냈다. 이창우는 두 아들 낭성군 이계감과 보은백 이계성을 두었다.
2. 2. 조선 시대
이거이(李居易)는 조선 개국 후 판한성부사, 우정승, 영의정을 역임하였다. 왕자의 난 직후 정사공신(定社功臣)에 책봉되었고, 태종 즉위 직후 좌명공신(佐命功臣)에도 책봉되었다. 자는 낙천(樂天), 호는 청허자(淸虛子), 시호는 문도(文度)이다.[1]이거이의 아들 이애(李薆)는 태조 이성계의 장녀 경신공주와 혼인하여 부마가 되었다.[1] 이애의 동생 이백강(李伯剛)도 태종의 장녀 정순공주와 혼인하여 부마가 되었으며,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청평부원군(淸平府院君)에 봉해졌다.[1]
15세손 이원첨(李元瞻)은 1418년(태종 18) 과거에 급제하여 좌병조사, 집현전 교리, 평산부사, 형방승지 등을 역임하였고, 1439년(세종 21) 옥류기륜과 사시풍경도 등을 제작하여 위정자들이 농사 시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후 수양대군이 단종의 왕위를 빼앗자 단종에 대한 충절을 지키고 자결하였다.[1]
20세손 이계년(李桂年)은 선조 때 무과에 급제하여 남원판관, 도총부도사 등을 역임하였다. 임진왜란 발생 후 훈련원첨정이 되어 의병 200여 명을 규합, 창의사 김천일을 따라 진주성을 방어하였다. 왜적에 의해 진주성이 함락되자 끝까지 항전하다 남강에 투신하여 순국하였다. 해남 용정사(龍井祠)에 추향되었다.[1]
3. 분파
청주 이씨는 크게 6세손 이공승의 장남 이춘로(李椿老)의 정숙공파와 차남 이계장(李桂長)의 평장공파로 나뉜다. 정숙공파는 문간공파, 낭성공파 등으로 갈라지며, 10세손 이계성이 보은 이씨로, 이차감이 개성 이씨로 분관하였다. 평장공파는 봉상공파, 통정공파, 참봉공파, 교위공파 등으로 갈라진다.[1]
3. 1. 분파 형성
6세손 이공승의 장남 이춘로(李椿老)의 정숙공파와 차남 이계장(李桂長)의 평장공파로 나뉜다. 《관북파보(關北派譜)》(정유보) 서문에 이계장이 관북 지방에 세거하여 관북파가 생겼다고 한다.[1]정숙공파는 문간공파, 낭성공파 등으로 갈라지고, 10세손 이계성이 보은 이씨로 분관하였다.[1] 10세손 이차감이 개성 이씨로 분관하였다.[1]
평장공파는 봉상공파, 통정공파, 참봉공파, 교위공파 등으로 갈라진다.[1]
3. 2. 주요 분파
6세손 이공승의 장남 이춘로(李椿老)의 정숙공파와 차남 이계장(李桂長)의 평장공파로 나뉜다. 《관북파보(關北派譜)》(정유보) 서문에 이계장이 관북 지방에 세거하여 관북파가 생겼다고 한다.정숙공파는 문간공파, 낭성공파 등으로 갈라지고, 10세손 이계성이 보은 이씨(報恩 李氏)로 분관하였다. 10세손 이차감이 개성 이씨(開城 李氏)로 분관하였다.
평장공파는 봉상공파, 통정공파, 참봉공파, 교위공파 등으로 갈라진다.
4. 본관
청주 이씨의 본관인 청주는 충청북도 중서부에 있는 시이다. 1896년에 충청북도 청주군이 되었고, 1946년에 청주부로 승격하였다가 1949년에 청주시로 개칭되었다.
4. 1. 청주의 역사
청주는 충청북도 중서부에 있는 시이다. 마한의 땅이었다가 백제 시대에는 상당현(上黨縣)이라고 하였다. 685년(신라 문무왕 5) 서원소경을 두었고, 757년(경덕왕 16) 서원경으로 개칭하였다. 940년(고려 태조 23) 청주(淸州)로 지명을 고쳤고, 983년(고려 성종 2) 청주목이 된 뒤 995년(성종 14)에는 절도사를 두었다. 1012년(고려 현종 3)에 안무사로 바뀌었다. 1018년에 전국에 8개 목(牧)을 설치함에 따라 다시 청주목이 되고, 양광도에 소속되었다. 1310년(고려 충선왕 2)에 청주는 주(州)로 강등되었다가 1356년(고려 공민왕 5)에 다시 청주목으로 복구되었다. 《세종실록지리지》에 충청도 청주목의 토성(土姓)으로 한(韓)·이(李)·김(金)·곽(郭)·손(孫)·경(慶)·송(宋)·고(高)·준(俊)·양(楊)·동방(東方)·정(鄭) 12성이 기록되어 있다.4. 2. 청주의 지리
충청북도 중서부에 있는 시이다. 마한의 땅이었다가 백제 시대에 상당현(上黨縣)이라고 하였다. 685년(신라 문무왕 5) 서원소경(西原小京)을 두었고, 757년(경덕왕 16) 서원경(西原京)으로 개칭하였다. 940년(고려 태조 23) 청주(淸州)로 지명을 고쳤고, 983년(성종 2) 청주목이 된 뒤 995년(성종 14)에는 절도사를 두었다. 1012년(현종 3)에 안무사로 바뀌었다. 1018년에 전국에 8개 목(牧)을 설치함에 따라 다시 청주목이 되고, 양광도(楊廣道)에 소속되었다. 1310년(충선왕 2)에 청주는 주(州)로 강등되었다가 1356년(공민왕 5)에 다시 청주목으로 복구되었다. 1896년에 충청북도 청주군이 되었고, 1946년에 청주부로 승격하였다가 1949년 청주시로 개칭하였다.5. 과거 급제자
청주 이씨는 고려시대 문과 급제자와 조선시대 문과, 무과, 생원시, 진사시 급제자를 배출하였다.
조선 무과 |
---|
이건인, 이귀창, 이기준, 이끝난, 이남, 이두엽, 이만웅, 이만화, 이빈, 이상일 |
이성남, 이숙, 이승원, 이시욱, 이시정, 이시창, 이애남, 이양좌, 이억량, 이언오 |
이웅민, 이윤방, 이장발, 이장식, 이재정, 이정건, 이정세, 이종엽, 이직, 이처인 |
이춘기, 이춘봉, 이태관, 이항엽, 이해운, 이행립, 이효망, 이희윤, 이희필 |
5. 1. 고려 시대
5. 2. 조선 시대
조선 시대에는 문과 급제자 10명을 배출하였다.무과 | |||||||||
---|---|---|---|---|---|---|---|---|---|
이건인 | 이귀창 | 이기준 | 이끝난 | 이남 | 이두엽 | 이만웅 | 이만화 | 이빈 | 이상일 |
이성남 | 이숙 | 이승원 | 이시욱 | 이시정 | 이시창 | 이애남 | 이양좌 | 이억량 | 이언오 |
이웅민 | 이윤방 | 이장발 | 이장식 | 이재정 | 이정건 | 이정세 | 이종엽 | 이직 | 이처인 |
이춘기 | 이춘봉 | 이태관 | 이항엽 | 이해운 | 이행립 | 이효망 | 이희윤 | 이희필 |
6. 조선 왕실과의 인척 관계
7. 인구
1985년에는 6,973가구, 28,968명이었다.[1] 2000년에는 10,951가구, 34,756명이었다. 2015년에는 37,377명으로 조사되었다.
연도 | 가구 수 | 인구 (명) |
---|---|---|
1985년 | 6,973 | 28,968 |
2000년 | 10,951 | 34,756 |
2015년 | 37,377 |
8. 집성촌
지역 |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동면 광덕리 |
충청남도 홍성군 장곡면 지정리 |
전라남도 해남군 계곡면 법곡리 |
경상북도 구미시 도개면 가산리 |
경상북도 예천군 감천면 천향리 |
함경남도 북청군 가회면 중리 |
평안북도 박천군 박천읍 송덕동 |
평안북도 구성군 동산면 용풍동 |
평안북도 정주군 고안면 독장동 |
평안남도 중화군 천곡면 덕현리 |
충청북도 보은군 마로면 기대리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